반응형

게임 제작/주저리 7

간단한 포물선 운동을 적용해보자..두번째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엔 코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https://mercuders.tistory.com/16) void update(float delta) { if (!bArrowShooting) return; Vec2 pos = this->getPosition(); float offset = 40; angle = angle + (offset * delta); // angle은 0부터 시작 float radian = (angle*M_PI) / 180; float radian2 = ((angle + 0)*M_PI) / 180; float fHeight = sin(radian); float fDistance = cos(radian2); pos = pos + Vec2(fDistance * 15, -fH..

간단한 포물선 운동을 적용해보자..첫번째

게임 도중에 발사체가 곡선을 그리면서 적들을 향해 가는 움직임을 주고싶을때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학적으로 적용시키려고 생각하면 막상 머리가 굴러가지 않을때가 있다..! 위 짤은 현재 만들고 있는 BalloonBurster의 한 장면이다. 저기 엘프처럼 보이는 엘프가 활을 쏠때 일직선으로 가는것은 쉽지만 포물선은 적용시키기가 까다로울수 있다. 하지만 sin cos 그래프를 이용하여 간단한 포물선 운동을 적용시켜 보도록 하자. 여기 cos 그래프와 sin 그래프가 있다. cos 그래프는 cos값에 0도를 넣으면 1이 나오고 0도에서 180도(파이)까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1 값으로 갔다가 다시 180도를 넘어가면 360도까지 다시 1값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값이 상승한다. sin은 0도를 넣으..

개발을 하려면? 개발자가 사용하는 도구 - 형상관리

아무래도 개발을 시작하려면 버전관리 및 문서 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처음 시작할때는 기능 단위로 개발한 문서 및 코드 프로젝트들을 그냥 폴더별로 저장했고 외장하드에 날짜별로 정리했던것이 기억난다. 그때는 너무도 어리고 뭐가 있는지 조차도 몰랐던 완전 초보 개발자였기 때문에 프로젝트 혹은 버전을 관리하기에 어떤 것을 사용하고 유용한지 몰랐던 것이다. 회사에 들어오고 부터는 각각 코드의 수정들이 어떤 이유에서 서버에 올라가고 버그가 있다면 어떻게 수정되어 올라갔다던가 어느부분의 코드를 수정하였는지 알 수 있는 형상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5개의 회사를 거치면서 많이 사용하였던 형상관리도구를 소개하겠다. SVN, Git 정도가 있는데 아마도 많이 들어봤을것이다. 혹시 본인이 회사에 들어갈 준비를 ..

게임 개발자(프로그래머)가 되려면 어느정도 되야 시작할 수 있을까??

게임을 만들려고 생각해보니 처음에 어떻게 접근했는지 기억이 잘 안난다. 어느덧 개발 경력이 8년정도 되어가고 있고 지금은 그냥 익숙하게 만들었던 클래스며 필요하면 사용하는 자료구조며 게임 엔진 관련 API, 윈도우 API, 그래픽스 라이브러리 등등 지금은 잘사용하고 있지만 처음에는 뭐가 있는지도 모르고 무작정 개발자가 되겠다고 생각만 앞서고 뭘해야할지 뭐부터 시작해야할지 몰랐던 시절이 있었다. 만약 그때의 나로 돌아간다면 나는 어떻게 어떤것부터 어느정도까지 학습하고 나의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을까..? 위 사이트는 예전 프로그램 언어를 공부하면서 많이 참고하던 사이트이다. 물론 이 글을 보는 개발자(혹은 지망생)분들 중에서 이미 알고 있을지도 모르는 사이트일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사이트이기도 ..

오랜만에 시작하는 게임 만들기 2021_07_28

7월 중순 정보처리 기사 실기를 끝으로 미루어 왔던 게임만들기를 다시 시작한다. 하.. 오랜만에 만드려고 하니까 예전에 짜놨던 코드가 생각이 안난다ㅋㅋㅋㅋ 시작한지는 꽤 오래되었다 2019년 초반부터 시작했으니까... 한 3년?? 게임 만드는게 이렇게 오래 걸릴줄은 몰랐지만 본인은 회사생활을 하면서 만들기 시작했기 때문에 많이 지연이 되고있는게 사실이다(사실 핑계 ㅋㅋㅋ) 이제는 더 이상 늦출수 없고 반드시 올해안에 스토어에 올리겠다는 일념하나로 다시 시작하려 한다. 위는 Visual Studio 2015 이다. 본인이 게임을 만들때 언리얼, 유니티, Cocos2d-x 중에 어느것을 엔진으로 사용할지 많이 고민 했다. 이건 주관적인 생각인데 본인은 처음 클래스부터 모든 진행 사항을 내가 짜고 싶다는 생각..

게임을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2)

개발자로써 어느 정도 경력이 생기고 내가 무엇을 만들어도 되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을때 게임 제작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클라이언트 경력 6년차인 내가 생각하기에 게임 제작은 적어도 C++이나 자바같은 언어 하나정도는 고급까지는 아니더라도 할줄 안다 정도는 말할 수 있어야 시작하기에 버겁지 않다고 생각한다.(물론 배우면서 해도 상관은 없다) 하지만 갑자기 하려니 뭐부터 해야하는지 막막했다. 여러 도구들이 있겠지만 내 눈에 띄는 도구들은 아래 3개와 같았다. 순서대로 Cocos2D-x , Unity, Unreal 이다. 위 3개가 물망에 오른 이유는 국비지원 학원에서 게임 회사로 간 친구들, 형들의 이야기를 들었을때 현업에서 많이 쓰이는 엔진들이라고 생각되어졌기 때문이다. 일단 먼저 Cocos2D-x에 대해 ..

게임을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1)

중딩때 RPG 메이커를 처음 접해보았다. 지금은 많은 버전의 RPG Maker 시리즈가 나왔지만 내가 처음 접했던 버전은 RPG 만들기 2000이었다. 도트로 나만의 케릭터를 만들고 내가 만든 규칙으로 나만의 세상을 만들어내어 스토리를 창작하여 인물간의 갈등을 조성하고 적들과 싸우고 이겨 새로운 장비를 얻고 레벨업을 할 수 있게 하는 RPG 만들기 시리즈는 그 당시 디아블로2, 바람의 나라 등 게임에만 열중했던 나에게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기에 아주 충분했다. 자연스레 나는 게임 개발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느꼈고 내 진로를 무작정 프로그래머로 정하기에 이르렀다. 요즘에는 게임 개발 학과가 따로 있는것 같지만 8년정도 전까지만해도 그런 학과는 눈에 띄지 않았던 것 같다. 웹컴퓨터 학과로 들어갔고 거기에서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