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기업보고서 및 일일시황

염승환 이사 일일시황 기업보고서 / 엔씨소프트 목표주가 상향! 게임 실패한 거 아니었어? / 20211105

Mercuders Master 2021. 11. 5. 22:57
반응형

< —— 기업보고서 —— >

[현대백화점]
현재 주가 79,300원 -1.98%
목표 주가 11만원 상향
시가 총액 1조 8천억
- 4분기 실적 모멘텀 호전

- 3분기 소폭 하회, 4분기는 개선

- 부정적인 업황 감안시 호실적

- 7월 무역센터점 셧다운에 따른 일시적인 영업 차질 발생

- 면세점 영업손실 예상보다 확대

- 4분기 영업이익은 33.9% 증가하며 크게 호전될 전망

- 현 가격대 분할 매수

- 위드코로나로 사회적 모임과 함께 패션, 식음료 부문의 호조가 전체 백화점 실적을 견인할 전망

 

[LS ELECTRIC]
현재 주가  59,000 -0.84%
목표 주가 87,000원
시가 총액 1조 7천억
- 동사 3분기 수익성은 예상 하회. 2분기부터 수주 늘어난 전력인프라 부문을 중심으로 매출 증가 및 이익 개선 기대

- 4분기 실적은 전력인프라, 신재생부문이 견인할 전망

- 전력부분의 수주 급증. 3분기말 현재 9123억 수주잔고인데 이중 7000억원이 전력인프라 관련 수주. 6개월 뒤 수주 인식

- 2022년에도 데이터센터 및 배터리 산업 투자 확대, 태양광, ESS 관련 프로젝트 증가로 실적 성장 전망

 

[엔씨소프트]
현재 주가 624,000원 +4.87%
목표 주가 74만원 상향
시가 총액 13조 6천억
- 리니지W 출시

- 주가 급락은 일부 서버 문제, 초기 애플 앱스토어 매출순위 3위, 재미없다는 평가 등이 원인

- 실제 성과는 고무적. 론칭 직후 서버 접속자 폭주. 출시한 12개국 모두 게임이용자 등 트래픽 대호조. 당연히 매출도 큰 폭 증가 전망

- 대만은 1위 진입, 한국 앱스토어 1위 진입 성공

- 구글 매출순위는 1주일 누적 매출이라 아직 순위 없지만(현재 3위) 1위 가능성 높음

- 리니지W 일평균 매출액 전망치를 15.3억원에서 23.4억원으로 상향. 내년 EPS 13% 상향

- 블소2 실망감을 해소시켜 줄 가능성 높음

 

[하이브]
현재 주가 383,500원 +7.57%
목표 주가 502,000원 유지
시가 총액 14조 9천억
- 3분기 영업이익 81.9% 급증

- 앨범 매출액 176% 증가

- 광고/출연료 매출액 140% 증가

- MD/라이선싱 매출액 -23.5% 감소

- 콘텐츠 매출액 438% 증가

- 팬클럽 42% 증가. 회원수 증가 지속

- 위버스 MAU 438% 증가

- 블랙필크 입점, 기존 아티스트 팬 증가

- 세상에 없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도출

- 빠른 시일 내 수익화시켜며 패러다임 제시

- 단순 엔터가 아닌 하이브 원천 IP 스토리의 소비 

- 하이브 IP 아티스트 기반 비즈니스 확장

 

[KT&G]
현재 주가 86,100원 +0.07%
목표 주가 11만원 상향
시가 총액 11조 8천
- 전자담배 10개 국가 수출을 3분기에 조기 달성, 연내 2개국 이상 추가 진출이 예정

- 22년 리오프닝 따른 홍삼 부문 실적 가파른 회복 기대

- 영업이익 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7.7%로 상향 조정

- 3분기 실적은 기대치 부합

- 연결자회사 KGC(인사공사)는 면세 채널 침체 지속 중이나 내년에는 개선 기대

- 향후 3년간 발생한는 잉여현금흐름을 활용해 2.75조원의 대규모 주주환원정책 발표. 3년간 약 1.75조원 규모의 배당 실시. 3년간 1조원 내외의 자사주 매입

 

[삼성엔지니어링]
현재 주가 23,600원 0.0%
목표 주가 32,000원 유지
시가 총액 4조 6천억
- 3분기 영업이익 +39% 증가. 시장기대치 26% 상회

- 신규수주... 연간 가이던스 6조원 중 3분기까지 4.4조원 달성. 연내 자푸라(12억불), 카타르 PVC 프로젝트(3억불)등의 수주로 목표달성 가능할 전망

- 원자재가 상승 영향?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기자재 구매는 이미 끝냈음.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제한

- 수소 프로젝트... 말레이시아에서 삼성엔지니어링-포스코-롯데케미칼 3사 협력체계로 사업진행

- 중동 에너지벨류체인 변경 수혜

- 연간 영업이익 예상치를 이미 달성. 수주는 갈수록 좋아짐. 친환경 사업으로 현재와 미래 모두 가졌음

 

[CJ ENM]
현재 주가 167,800원 +0.48%
목표 주가 25만원 
시가 총액 3조 6천억
- Tv 광고 강한 반등, 티빙 고성장, 해외 진출까지 모두 긍정적

- 주가는 아쉬움. 이제는미디어 커머스가 TV와 홈쇼핑이 아닌 디지털 채널과 디지털 상품으로 확대해야하며 더 큰 성장을 갈망하는 투자자들을 위한 전략의 구체화가 필요

- 전략이 바뀌어야 기업의 밸류도 올라감

- 3분기 이익 기대치 상회. TV광고 +23% 성장, 티빙 유료 가입자 전분기 대비 +38%, 홈쇼핑은 -36% 부진. 영화는

- 143억 적자

- 음악은 엔하이픈 등 앨범판매 호조로 사장 최대 이익

- SM 인수 성공시 디어유 확보하고 티빙의 고성장, 해외 진출이 성공한다면 미디어 산업의 가치 3조원을 상회할 것 

- SBS가 가진 컨텐츠의 가치는 유튜브에서 찾았고 구보음원의 가치는 뮤직카우에서 확인

 

 

[심텍]
현재 주가 37,000원 +18.97%
목표 주가 48,000원 상향
시가 총액 1조 1천억
- 너무 빠른 수익성 개선 속도

- 3분기 영업이익 64% 급증. 기대치 21% 상회

- 패키지기판 매출액 급증

- 전사 영업이익률 13.8%는 22년에도 기대하지 않았던 수치

- 심첵의 FC-CSP는 주로 컨트롤러 IC용으로 공급. 관련 수요 급증

- 22년 영업이익 전망치 22% 상향 조정

- 22년 다시 한 번 증성 검토할 것으로 예상

- 이익률 개선으로 밸류에이션 할인 이유 없음

- PER 6배

 

[스튜디오드래곤]
현재 주가 88,300원 + 2.56%
목표 주가 
시가 총액 2조 6천억
- 선명해진 2022전망

- 3분기 예상치 부합한 실적

- 동사의 3분기 해외판권 및 감가상각비가 전분기 대비 증가

- 이는 선판매가 진행된 작품에 대해 기존 18개월이 아닌 작품 시작 월로부터 6개월 가속 상각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비용이 늘어난 영향

- 2022년 청사진 구체적 제시. 스위트홈2를 포함하여 5개 작품 넷플릭스 오리지널 편성 확정

- 스위트홈2의 제작비는 전작을 넘는 400억대로 예상됨

- 애플 TV+ 시리즈 오더에 성공했음. 국내제작사 중 첫 케이스

- 22년에는 드라마 슬롯이 증가함. TVN 유미의 세포들 이후 금토 드라마 시작, OCN 드라마도 재개

- 계열사 드라마 슬롯 증가는 실적 증가에 긍정적

- 내년 넷플릭스와 재계약

반응형